![](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63eZv/btqENYKOlot/DBekG9HhoDmY9x2L7lu230/img.png)
기저효과 - '수치'의 다양한 해석 요즘 다른 어느 때보다 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역대 최고 온도를 달성했습니다. A 씨가 운영하고 있는 아이스크림 가게는 더운 날씨를 맞아 손님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덩달아 매출도 올라가 이번해 최대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하지만, A 씨는 아이스크림 가게 운영을 꾸준히 이어가야 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작년 대비 매출이 너무 떨어졌으며 지금까지 손해가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코로나로 인한 경영 악화는 큰 부담입니다. 이렇게 같은 매출 지표지만, 올해를 기준으로 해석한 결과와 작년을 기준으로 해석한 결과는 전혀 다릅니다. 경제학 또는 통계확 등에서 기준에 따라 수치를 비교했을 때, 해석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기저효과(Base effect)라고 합니다..
공대생도 이해한 경제
2020. 6. 13.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