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소비자물가지수(씨피 아이, CPI) - 당신의 점심 값은 얼마나 올랐나요?
여러분께서 점심에 드신 햄버거의 가격은 전년대비 얼마나 가격이 변동이 되었을까요?? 우리나라에서는 두 가지의 방법을 통해 이러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와 GDP 디플레이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 하나인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물가지수
먼저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달 통계청에서 씨피아이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조사방법은 가중산술평균 방식, 즉 라스파이레스 산식(Laspeyres`Fomula)을 사용합니다. 기준연도는 2015년, 서울, 부산, 대구 등 38개 지역에서 460개 품목을 정하여 조사하고 있습니다. 1965년 2월부터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그리고 가격은 재래시장, 백화점, 대형마트 3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CPI(씨피아이) 계산 방법
도시별로 품목지수(비교시점 가격/ 고정시점 가격)를 먼저 작성하고 각 품목의 도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전국 품목 지수를 작성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품목 지수에 품목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전국 소비자 물가지수를 산출합니다.
예시를 통해 함께 계산해보겠습니다.
조사는 A도시, B도시, C도시에서 이루어집니다. 대상 품목은 피자, 햄버거, 치킨입니다.
1) A도시의 피자 지수(개별 도시 품목 지수) 구하기 (비교시점 가격 / 기준시점 가격)*100
2020년 피자의 가격은 11,000원입니다. 그리고 2015년 피자의 가격은 10,000원입니다. 이런 경우 A도시 피자 지수는 (11,000/10,000)*100 = 110입니다. 15년 대비 20년 피자 가격은 10% 상승하였습니다.
2) 3개 도시의 피자 지수(전국 품목 지수) (개별 도시 품목 지수*가중치의 합/ 모든 도시 가중치의 합)
피자 | 지수 | 가중치 |
A도시 | 110 | 200 |
B도시 | 115 | 300 |
C도시 | 105 | 500 |
합 | 1,000 |
(109*200 + 120*300 + 103*500)/1,000 = 109.3
2020년 소비자물가지수는 109.3입니다. 즉, 2015년 대비 9.3% 상승하였습니다.
3) 전국 물가 지수 (전국 품목 지수*가중치의 합 / 전 품목 가중치의 합)
지수 | 가중치 | |
피자 | 109 | 200 |
햄버거 | 120 | 300 |
치킨 | 103 | 500 |
합 | 1,000 |
(109*200 + 120*300 + 103*500)/1,000 = 109.3
2020년 소비자물가지수(씨피아이)는 109.3입니다. 즉, 2015년 대비 9.3% 상승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씨피아이'의 정의와, 우리나라의 상황, 그리고 물가 지수 계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라스파이레스 산식을 통해 물가 지수를 계산할 경우 어려움이 있어 일부 예시를 들어 함께 계산을 해보았는데 여러분께서 뉴스 기사 또는 경제 신문에서 소비자물가지수를 접하게 되었을 때, 포스팅을 보기 전보다 조금 더 쉽게 이해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