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열등재, 기펜재 - 상식과 반대되는 경제 단어

 지난 포스팅을 통해 우리는 소득의 변화와 동일하게 수요 또는 지출가 변동되는 재화 즉, 수요의 탄력성이 양인 '정상재'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그 반대의 경우는 무엇일까요?


열등재 의미

 '열등재' 정상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수요의 탄력성이 양이 아닌, 음의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소득 수준이 올라갈수록 수요가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가격의 법칙에 따릅니다. 가격이 오르면 구매율은 내려가고, 반대로 가격이 내려가는 경우 수요자가 늘어납니다.

기펜재(Giffen good) 의미

 '기펜재'는 '로버트 기펜'에게서 유래되었음을 단어에서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열등재의 한 종류입니다. 일반적으로 가격 상승은 수요 감소의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기펜재'는 열등재의 가격이 상승했음에도 사람들의 구매욕이 더욱 올라가는 것으로 소득 효과와 대체효과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수요의 탄력성이 음인 가격과 수요의 법칙에서 예외 되는 재화를 표현합니다. 또한, 탄력성에 비례하여 가격이 오를수록 이러한 수요는 더욱 올라가게 됩니다.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예시로는 '한정판'이 있습니다. 한정판은 공급 수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그만큼 가치가 올라갑니다. 한정판의 경우 그것을 꼭 가지고 싶게 만드는 '소유욕'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기펜재(Giffen good) 예시

 '로버트 기펜'은 19세기 아일랜드에서 감자 농사가 흉작이었을 때를 연구하였다.

당시 흉작으로 인해, 먹을 것이 턱없이 부족하여 공급은 부족한데 수요는 치솟았습니다. 당연히 모든 농산품의 가격은 폭등했습니다. '감자'의 가격이 하늘 높은지 모르고 치솟았지만, 사람들은 감자를 사기 위해 그 비용을 감당했습니다. 이유는 다른 농산품 역시 폭등했기 때문입니다. '감자'만 가격이 오른 것이 아녔습니다.

 

 이후 다시 농사가 잘되어 '감자'의 가격이 떨어졌으나, 과거처럼 사람들은 그것을 찾지 않게 되었습니다. 다른 농산품 또한 가격이 안정되어 '감자'를 대체할 수 있는 품목의 구매가 사람들에게 부담이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경제상황 예측의 어려움

 '열등재'의 한 종류인 '기펜재'를 보면, 그것을 통해 큰 이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상황을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19세기 아일랜드와 상황이 다르지만, 감자의 가치가 저렇게 변화할 것을 쉽게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지금은 과거보다 더욱 많은 사회적 요소와 배경에 연결되어 있어 정확한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조금이라도 빠르게 예측하고, 감지하여 이익을 보는 것은 힘들지만, 여러분의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좋은 정보를 쉽게 담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